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입문자 주린이를 위한 기초 용어 정리

by 낼또와 2022. 1.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들 재테크로 관심이 많은 주식에 대해서 기초 용어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 글은 아무것도 모르는 입문자들을 위한 기초 용어로, 정말 무턱대고 그냥 시작했다간 큰코다칠 수 있으니 차근차근 배우고 신중하게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저는 주식한 지 5년째 되었는데요, 저도 모든 용어를 다 알고 있는 건 아니고 하면서 그때그때마다 궁금한 걸 찾아보면서 공부하는 스타일이라 완벽하게 잘 알진 않습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도 차근차근 하나씩 공부해보세요!

 

코스피와 코스닥이란?

코스피와 코스닥의 비교화면
코스피와 코스닥 비교

코스피란 국내 종합 주가 지수를 뜻하며, 시가총액이 큰 금융업과 제조업 중심으로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중견기업, 대기업 등이 상장되어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이 높은 대형 우량주가 많아 비교적 안정적인 편입니다.

 

코스닥이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들의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한 증권시장입니다. 따라서 코스닥의 상장 조건은 코스피에 비해 수월 한 편으로 코스피보단 수익이 높게 나타나지만 그만큼 변동성이 커서 위험도가 따릅니다. 초보분들은 코스피부터 시작을 하는 게 나은 편이고, 만약 코스닥주에 투자를 하고 싶다면 그 기업을 충분히 알아본 뒤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예전에 아무것도 모를 때 그냥 투자했다가 공중분해되어 뼈아픈 경험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인생은 한방이라고 투자했다가 소리 소문 없이 회사가 사라질 수도 있으니 꼭 신중하게 투자해주세요!

 

상한가와 하한가

상한가란 주식 시장에서 최대(30%)로 상승할 수 있는 최고 가격을 뜻합니다. 가격 제한 폭 내에서 가장 높은 금액까지 상승했을 경우입니다.

반대로 하한가란 주식 시장에서 가장 하락할 수 있는 최저 가격을 뜻합니다. 가격 제한 폭(30%) 내에서 가장 낮은 가격까지 하락했을 경우입니다. 

 

매수와 매도

주식 매수와 매도의 화면
주식 매수와 매도

매수는 구매를 하는 것이고, 매도는 판매를 하는 것입니다. 간단하지만 막상 급하게 사고 팔일이 있을 땐 초보분들은 매수와 매도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버튼 하나만 잘못 눌러도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생길 수 있으니 꼭 ㅋㅋ 잘 확인해주세요! 해당 이미지는 삼성증권 어플로 사용하실 분들께서는 이 이미지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시가, 종가, 고가, 저가

시가란 장 시작(9시)에 시작되는 가격을 말하며 종가란 장 마감(15시 30분) 가격을 말합니다. 고가의 경우는 가장 높은 시장가를 뜻하고, 반대로 저가는 가장 낮은 시장가를 말하는 것입니다. 시가, 종가 그리고 고가, 저가 이렇게 서로 반대되는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수금과 증거금이란?

예수금은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주식계좌에 입금한 돈으로, 매매하지 않은 대기상태인 금액을 뜻합니다. 만약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계좌에 100만 원을 넣어 50만 원은 주식 구매를 하고, 나머지 50만 원은 구매하지 못했다면 그 예수금은 50만 원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주식을 팔아 즉시 100만 원이 생겼다면 이것은 2일 후가 예수금이 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의 주식을 당일 100만 원어치 팔았는데 그 돈으로 다른 주식은 매수가 가능하나, 다른 계좌로 이체하거나 빼야 할 일이 있다면 2일 후에 가능한 것입니다. 예전에 제 친구도 수익이 생겨 즉시 이체하려고 했는데 이체 가능한 돈이 없다며 고객센터로 전화한 에피소드가 있었습니다. ㅋㅋ  처음 하시는 분들은 잘 모르실 수 있는 부분이라 참고 부탁드립니다.

증거금은 보증금 같은 성격으로, 매매 시 약정 금액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예탁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증거금은 보통 30% 정도 되는데, 종목마다 약간씩 상이합니다.

 

양봉과 음봉

주식의 양봉과 음봉 막대 그래프
주식의 양봉과 음봉

주식 차트를 형성하고 있는 그래프의 막대는 시간, 일, 주로 나눌 수 있고 우리는 시간봉, 일봉, 주봉으로 부르고 있습니다. 그중 양봉은 빨간색으로 종가가 시가보다 클 때를 말하는 거고 음봉은 파란색으로 종가가 시가보다 작을 때를 뜻하고 있습니다.

 

익절과 손절이란?

저는 익절이라는 말을 주식하면서 처음 듣게 되었습니다. 익절이란 주식을 매도했을 때 이익이 나타난 경우를 뜻합니다. 반대로 매도했을 때 손해를 본다면 그건 손절했다고 할 수 있죠. 매일같이 익절만 보면 얼마나 좋을까요?ㅠㅠ

 

홀딩과 추매

홀딩은 주식 매도를 하지 않고 버티는 것이고, 추매는 '추가 매수'의 줄임말로 보유하고 있던 종목을 추가 매입할 때를 말합니다. 그리고 추가 구매한 이 금액을 '추매가'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이렇게 간단하게 몇 가지 기초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이 중 없는 용어는 다음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반응형

댓글